[그래픽뉴스] 추석 앞두고 밥상물가 '비상'<br /><br />추석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밥상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차례상 준비를 앞두고 치솟은 장바구니 물가에 소비자들의 시름이 깊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20일 기준 배 10개의 소비자가격은 5만1,469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7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사과 가격도 지난해보다 15% 넘게 뛰어 차례상 대표 과일인 사과와 배 가격 모두 고공행진 중인데요.<br /><br />통상 추석을 앞두고 햇과일이 출하되면 과일값이 안정되지만 올해는 폭염에 이어 가을장마와 태풍까지 겹쳐 과일값이 잡히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산적이나 국거리용으로 쓰이는 한우안심과 한우양지 가격도 올랐습니다.<br /><br />한우안심은 100g에 1만6,775원으로 지난해보다 15% 넘게 올랐고, 한우양지는 2.87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폭염으로 인한 폐사와 코로나19 재난지원금으로 인한 수요가 가격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인데요.<br /><br />또 조류인플루엔자 여파로 계란과 닭고기 역시 지난해보다 가격이 뛰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폭염으로 인한 작황 부진 영향으로 주요 농산물의 가격도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시금치의 kg당 소매가는 2만8,160원으로 1년 전보다 무려 72.88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또 쌀과 고춧가루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16.28%, 35.6% 더 비싸졌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달걀과 쌀 등 주요 식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크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밥상물가 상승의 충격은 저소득층에 더 집중됐습니다.<br /><br />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의 경우 대표적인 필수 지출 항목 중 하나로 물가가 올라도 절약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%인 1위 가구가 2분기에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에 지출한 월평균 금액은 24만4천원으로 1년 전보다 12% 늘었는데 이는 다른 가구의 지출 증가율보다 훨씬 컸습니다.<br /><br />추석을 앞두고 치솟은 밥상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예년보다 이른 이달 말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하기로 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